(주)도시유전, 사우디아라비아 페드코(PEDCO)社와 폐플라스틱 활용한 재생원료 생산기술 업무협약 체결, 중동의 사우디아라비아, UAE, 호주 그리고 뉴질랜드에도 본격 진출

PEDCO社, ㈜도시유전이 보유한 친환경 폐비닐 및 폐플라스틱 분해 처리를 통한 재생유 복원 기술을 사우디아라비아, UAE 및 호주와 뉴질랜드 지역으로 독점권을 갖고 진출 확정

2025-09-11     박소란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페드코(PEDCO)社의 압둘모센 알자밀(Abdulmohsen Alzamil) 대표(오른쪽)와 ㈜도시유전 정영훈 대표(왼쪽)가 사우디, UAE 및 호주,뉴질랜드의 “도시유전 RGO 기술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후 악수를 하고 있다./사진=도시유전

[이슈앤비즈 박소란 기자]  ㈜도시유전 (대표 정영훈)이 오는 11월 나프타 수준의 재생원료를 직접 생산하는 상용화 공장인 “웨이브 정읍”의 준공식을 앞두고, 지난 영국, 핀란드, 미국에 이어 사우디아라비아, UAE 의 중동 그리고 호주와 뉴질랜드에까지 진출하게 되었다고 11일 밝혔다. 

도시유전은 지난 9월 10일 도시유전 본사에서 사우디아라비아의 PEDCO(Projects Execution Development Company) 社와 “사우디, UAE, 호주, 뉴질랜드의 RGO 기술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PEDCO社에 ㈜도시유전이 보유한 친환경 폐비닐 및 폐플라스틱 분해 처리를 통한 재생유(재생원료유, 재생연료유) 복원 기술을 사우디와 UAE 그리고 호주, 뉴질랜드 지역에 한해서 영업 독점권을 부여한 것이다.

이로써 석유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 UAE 그리고 호주와 뉴질랜드도 도시유전의 기술로 폐원유, 폐플라스틱, 폐비닐을 처리하여 재생원료를 생산 할 수 있게 되었다. 

PEDCO社는 1991년에 설립되어 사우디아라비아 전역에서 사우디아라비아의 ARAMCO,  UAE의 ADNOC등 중동의 주요 기업들과 협력하며 전력 및 에너지(Power & Energy)'와 '특수 프로젝트(Special Projects)'에 집중하고 있는 기업이다. 

도시유전은 PEDCO社를 통해 중동 전역의 다양한 산업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 및 UAE 내의 거대 산업 기업들과 도시유전의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재생에너지 기술 업무협력을 통해 폐기물 처리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중동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특히, 지난 9월 9일 도시유전의 1호 상용화 공장인 “웨이브정읍”에는 PEDCO社의 Abdulmohsen  Alzamil 대표와 함께 호주 최대 규모의 섬유제조 및 공급회사의 CEO까지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업계의 이목을 집중 받기도 하였다. 

PEDCO社는 침구, 수건, 식탁보, 의료용 섬유를 포함한 다양한 섬유 제품을 제조하고 공급하는 글로벌 섬유제조 및 공급회사를 도시유전에게 소개함으로써 우선적으로 호주 및 뉴질랜드 내에서 발생되는 폐섬유를 소각이 아닌 ㈜도시유전이 보유한 친환경 기술을 통해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하여 처리하고자 이번 웨이브 정읍 현장을 함께 방문한 것이다.

 PEDCO社는 이미 지난 8월 호주에서 발생되는 폐섬유의 샘플을 한국 ㈜도시유전에 보냈고, 도시유전의 RGO PILOT 장비를 통해 그 성능 Test를 확인한 바 있다. 이번 방문을 통해 PEDCO社는 비연소 방식의 저온 상태에서 친환경적으로 폐섬유가 분해 처리되는 과정을 웨이브정읍 공장 현장 운용에 대한 실사를 통해 확인하고, 도시유전의 RGO 친환경 설비 도입을 결정했다. 

PEDCO社의 CEO인 압둘모센 알자밀(Abdulmohsen Alzamil)은 “도시유전 설비는 기존의 고온에서 연소하여 중질유를 생산하는 방식의 열분해유 생산공장과는 달리,  고품질의 나프타수준의 재생원료를 생산하는 높은 복원율, 그리고 생산공정 과정에서 조용하고 연기는 물론 냄새도 없는 이런 친환경적인 폐기물 처리 시설은 본 적이 없었다.” 라며,“경제성을 떠나 이런 기술은 환경파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구촌에 지속가능한 친환경적 미래기술의 방향성을 제시해주고, 이에 따른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라고 말했다.

도시유전의 정영훈 대표는 “도시유전의 기술이 해외에서 먼저 인정받고 있다는 사실에 큰 보람을 느낀다. 오는 11월 도시유전 기술로 만든 세계 최초 상용화 공장인 ”웨이브정읍“ 준공을 시작으로, 1~2년 내에 친환경 첨단 기술 산업분야에서 대한민국 원천기술로 대한민국의 위상을 세계 정상에 올리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폐플라스틱·폐비닐 등을 저온 비연소방식으로 화학적 열분해(Pyrolysis)와 정제공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연결하여 석유화학의 원료로 쓰이는 나프타급의 재생원료유를 직접 생산하는 회사는 도시유전 外에는 국내에서 전무하다.

나프타급의 재생원료유는 석유화학사에 공급하여 에틸렌·프로필렌·벤젠 등 올레핀 원료나 PE, PP, PET 등과 같은 원료로 플라스틱 제조에 재사용되어질 만큼 탄소배출권을 인정받을 수 있고, 희소성과 부가가치가 높은 상품이다. 

현재, 폐비닐 및 폐플라스틱을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분해 처리하여 재생유로 복원하는 도시유전의 대한민국 신기술 적용 제품을 도입한 제 1호 상용화 공장(“웨이브 정읍”)은 건축 준공 후 시운전을 하고 있다. 웨이브 정읍은 KTL의 최종 설치검사를 통과하게 되면 바로 본격 정상 사업운전을 개시하게 된다.

준공식은 오는 "11월로 예정되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