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美GM과 차세대 LMR 배터리셀 2028년 상용화 맞손
[이슈앤비즈 김하성 기자]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완성차 업체 제너럴모터스(GM)와 손잡고 2028년부터 차세대 배터리셀 상용화에 나선다.
GM은 13일(현지시간) LG에너지솔루션과 공동 개발한 리튬망간리치(LMR) 각형 배터리셀을 상용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GM과 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법인인 얼티엄셀즈가 2028년까지 미국 내 제조시설에서 LMR 각형 배터리셀의 상업용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며, 시범 생산은 2027년 말까지 LG에너지솔루션 시설에서 이뤄질 예정이다.
LMR 배터리는 양극재 소재 중 망간 비율을 높인 차세대 배터리 기술이다. 비싼 코발트와 니켈 대신 저렴한 망간을 많이 사용해 비용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더 큰 용량과 에너지 밀도를 제공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LMR 배터리 분야에서 2010년부터 200여개의 특허를 확보하고 있다.
LMR 배터리는 이미 오래전부터 연구가 이뤄진 방식이지만 수명이 짧아 실제 상용화로 이어지기엔 한계가 있었다. GM과 LG에너지솔루션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리튬인산철(LFP) 기반 배터리 셀과 비교해 같은 비용으로 33% 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신규 개발 LMR 셀은 쉐보레 실버라도 전기 트럭과 대형 전기 SUV인 에스컬레이드 IQ에 적용될 예정이며, 644㎞ 이상의 주행거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커트 켈티 GM 부사장은 "다양한 전기차 라인업에서 각 차량에 가장 적합한 배터리를 설계하면서 LMR은 고니켈 및 인산철 솔루션을 보완해 트럭 및 대형 SUV 시장에서 소비자의 선택을 확대하고 미국 내 배터리 혁신을 발전시키며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원준 LG에너지솔루션 자동차전지사업부장 부사장은 "수십 년간의 연구와 투자의 결과물인 전기차용 LMR 각형 셀을 최초로 소개하게 돼 기쁘다"며 "이번 신기술이 적용된 GM의 미래 트럭은 양사가 소비자에게 다양한 전기차 옵션을 제공하고자 하는 공동의 약속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