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공사, 강우 대비 댐 현장 특별점검 등 비상체제 조기 가동
윤석대 사장 “국민 안전 최우선 비상체제 조기가동” 섬진강 댐서 전사 특별 대책회의, 댐 홍수조절량 3배 확보 디지털트윈 훈련 중심 관리 본격화, 하천·도시 방재공조 강화
[이슈앤비즈 배대은 기자] 한국수자원공사가 17일 전 유역 댐 현장에서 특별점검을 실시하고 비상체제를 조기 가동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처는 최근 국내외 각지에서 이례적인 폭우가 발생하는 점에 주목해, 올해 여름 강우가 올 것을 가정하고 홍수 대응 태세 점검으로 국민 안전을 확보하겠다는 취지로 추진됐다.
이에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이날 전북 임실군 섬진강댐에서 전사 특별 대책회의를 열었다.
이와 함께 공사 임원진 및 본사, 전국 댐 지사 부서장과 홍수 대비 체계점검 및 시설물 시험가동 등 현장점검을 실시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달 29일 본사에서 개최한 전사경영회의에 이어 올해 처음으로 현장에서 열린 전사 홍수대응체계 점검이다.
공사는 다음달까지 군남댐과 대청댐 등 전 유역 댐 현장에서 홍수대응체계 점검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윤석대 사장은 “최근 극한 홍수가 시기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발생하고 있는 만큼 올해 홍수는 이미 시작되었다는 마음으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댐은 홍수방어를 위한 일차적인 역할을 해야 하므로 과거에 경험하지 못했던 극한 홍수까지 염두에 두고 모든 댐에 대해 위기대응체계를 견고히 유지해달라”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하천과 도시 홍수를 담당하는 정부 및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의 공조체계 강화로 국민 안전 확보와 인명피해 예방에 총력을 기울여달라"라고 말했다.
공사는 홍수기 이전 선제적 사전방류로 다목적댐의 설계 홍수조절용량 약 21억8000만톤의 3배 수준인 약 61억톤의 홍수조절용량을 확보해 올해 홍수에 대비할 계획이다.
공사에 따르면 이는 대한민국에서 29억톤 규모로 저수량이 가장 큰 소양강댐 2개 이상을 물그릇으로 비워놓는 효과와 맞먹는다.
또 물 관리 디지털트윈 시스템과 연계한 홍수 분석시스템 고도화로 댐 방류에 따른 하류 하천의 영향을 신속히 분석해 과학적인 댐 홍수조절을 시행할 방침이다.
물 관리 디지털트윈은 공사의 3대 초격차 기술인 ▲물 관리 디지털트윈 ▲인공지능(AI) 정수장 ▲스마트 관망관리 중 하나다.
이번 현장점검에서 윤석대 사장은 수자원 최초 디지털트윈을 적용한 섬진강댐의 극한 홍수 대응방안을 확인했다.
뒤이어 ▲강우예보에 따른 홍수분석 ▲댐방류 의사결정·승인요청, 관계기관·주민 대상 방류 예고·통보 ▲디지털트윈 시스템 댐 방류 및 하류 하천 영향분석 등 홍수 대응 실무 과정을 점검했다.
윤석대 사장은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댐이 대응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면밀히 검토하고, 다양한 홍수 상황에서도 다목적댐이 100%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