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키움그룹, 대기업집단 이어 금융복합기업집단 지정

삼성·한화·미래에셋·교보·현대차·DB 재지정 다우키움그룹, 저축은행 등 비주력업종 자산총액 5조원 넘어 최초 지정 KTB·태광·카카오·현대해상 지정 제외 다우키움그룹 내년부터 자본적정성 평가, 내부통제 등 보고의무

2022-07-06     김현동 기자

다우키움그룹이 공시대상 기업집단에 이어 금융복합기업집단으로 지정됐다. 다우키움그룹이 금융복합기업집단에 지정됨에 따라 키움증권 등 금융계열사와 다우기술 등 비금융계열사 간의 내부통제와 위험관리 등에 대한 관리 체계에 대한 관심이 집중될 전망이다.

금융위원회는 6일 '제13차 정례회의'에서 삼성·한화·미래에셋·교보·현대차·DB·다우키움 등 7개 기업집단을 올해 금융복합기업집단으로 지정했다. 삼성·한화·미래에셋·교보·현대차·DB 등은 지난해 7월 금융복합기업집단으로 최초 지정됐고, 다우키움그룹은 이번에 처음으로 금융복합기업집단에 지정됐다.

금융복합기업집단은 지난해 6월 금융복합기업집단법이 시행됨에 따라 매년 7월까지 지정된다.

금융복합기업집단은 여수신·보험·금융투자업 등 2개 이상 금융업을 수행하고, 금융당국에서 인허가나 등록된 금융회사가 1곳 이상이면서 자산총액이 5조원 이상인 경우 지정된다. 다만 비주력업종의 자산총액이 5조원 미만이면 지정에서 제외된다.

삼성그룹은 금융회사 기준 자산총액 495조2000억원이고, 주력업종인 보험업종의 자산총액 403조8000억원이면서 삼성카드와 삼성증권 등 비주력업종의 자산총액 91조1000억원으로 금융복합기업집단에 재지정됐다. 한화그룹(자산총액 164조4000억원·비주력업종 자산총액 13조5000억원), 미래에셋그룹(자산총액 138조4000억원·비주력업종 자산총액 48조2000억원), 교보그룹(자산총액 131조5000억원·비주력업종 자산총액 11조5000억원), 현대차그룹(자산총액 74조원·비주력업종 자산총액 8조원), DB그룹(자산총액 73조5000억원·비주력업종 자산총액 9조7000억원) 등이다.

다우키움그룹은 지난해 말 자산총액 44조8000억원, 주력업종(금투업)의 자산 38조3000억원, 비주력업종(저축은행 등)의 자산이 5조1000억원으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지정요건을 모두 충족해 올해 새롭게 지정됐다. 다우키움그룹은 2019년 공시대상 기업집단에 최초 지정된 이후 2022년 기준 재계순위 55위의 기업집단이다. 48개 계열사에 공정자산총액 8조5050억원이다. 

KTB그룹, 태광그룹, 카카오그룹, 현대해상그룹 등은 금융회사 자산총액이 5조원 이상이나 비주력업종 자산총액이 5조원 미만이라서 지정에서 빠졌다. KTB그룹은 다올투자증권 주력업종의 자산총액 5조1000억원이나 여수신업종의 자산총액이 3조6000억원에 머물러 있다. 태광그룹의 경우에도 흥국생명과 흥국화재 등 주력업종 자산총액이 45조원이면서 다수 금융업을 영위하고 있어 금융복합기업집단 지정요건에 해당되나, 저축은행과 흥국증권 등의 자산총액이 3조원으로 지정 예외 요건에 해당한다. 카카오그룹과 현대해상은 카카오뱅크와 현대해상보험 등 주력업종의 자산총액이 각각 36조원, 52조3000억원이나 비주력업종 자산총액이 각각 4000억원, 1000억원에 그쳐 지정에서 제외됐다.

금융복합기업집단으로 지정되면 대표금융회사를 선정하고 집단 차원의 위험성(자본적정성 등)을 정기적으로 점검·평가하며, 내부통제·위험관리·내부거래 관리를 스스로
 이행해야 한다. 또 이와 관련해 투자자와 금융소비자가 알아야 할 중요사항을 투명하
게 공시하고, 감독당국에도 보고해야 한다. 다우키움그룹의 경우 키움증권과 다우기술 등의 내부거래 등이 내부통제 차원에서 주목할 만한 대상이다.
  
다만 새롭게 지정되는 금융복합기업집단에 대해서는 지정된 날로부터 6개월간 자본적정성 평가, 내부통제·위험관리, 보고·공시 등 주요 규정의 적용이 유예된다. 이에 따라 다우키움그룹은 내년에나 관련된 공시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는 "금융복합기업집단이 집단 차원의 위험을 스스로 인지하고 관리하는 자율적인 위험관리 체계가 정착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금융그룹의 재무건전성이 확보됨으로써 동반부실의 위험 최소화, 금융시장 안정과 금융소비자 보호 제고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