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스타트업 jump up]네이버 D2SF, 기술 스타트업 발굴등 공격적 투자 행보
[더블유스타트업 김하성 기자]올해도 네이버의 스타트업 양성조직 D2SF(D2 Startup Factory)가 기술 스타트업에 전략 투자등 공격적인 투자 행보를 보이고 있다.
네이버 D2SF는 학생 창업팀을 포함한 초기 기술 스타트업에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스타트업 성장 단계에 맞춰 체계적으로 성장을 지원할 방침이다.
새해들어 투자진행 상황을 점검하면 네이버 D2SF는 지난 20일 메타버스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위한 3D 콘텐츠 기술 스타트업 ‘엔닷라이트’에 신규 투자했다.
이번 투자는 카카오인베스트먼트가 리드했으며, 네이버 D2SF와 카카오인베스트먼트의 첫 공동 투자이다.
엔닷라이트는 자체 개발한 3D 엔진을 기반으로, 누구나 쉽게 고품질 3D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솔루션 ‘엔닷캐드’를 서비스 중이다. 기존의 전문가용 3D 디자인 SW와 달리, 뛰어난 UX로 메타버스 서비스의 주 사용자층인 Z세대가 쉽고 간편하게 고품질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자체 3D 엔진에 기반을 두고 있어 선과 면 기반의 섬세한 묘사가 가능하고, 만들어진 창작물은 제페토, 로블록스 등 다양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활용할 수 있다.
엔닷라이트의 공동 창업진은 직접 3D 엔진을 개발해 고도화할 만큼 우수한 기술력과 노하우를 갖췄으며, 특히 박진영 대표는 다음커뮤니케이션, 삼성전자 등에서 UX 전략 및 신규 서비스 기획을 리드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양상환 네이버 D2SF 리더는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이용자들의 콘텐츠 창작 니즈가 매우 높고 그에 대한 보상 시스템도 구축되고 있지만 3D 콘텐츠 제작 과정은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엔닷라이트는 메타버스 콘텐츠 제작의 허들을 낮추는 기술 스타트업이며, 앞으로 엔닷라이트의 솔루션으로 다양한 크리에이터와 콘텐츠가 탄생할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진영 엔닷라이트 대표는 “메타버스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콘텐츠의 가치 또한 커지고 있다”며 “국내 최고 IT 기업들을 전략 투자 파트너로 확보했다는 점에서 이번 투자 유치는 매우 고무적이며 앞으로 글로벌 메타버스 시장을 리딩할 수 있는 기업으로 성장하겠다”고 밝혔다.
네이버 D2SF는 지난 12일에는 전자상거래(e커머스) 데이터 스타트업 '데이터라이즈'에 후속 투자했다.
데이터라이즈의 이번 시리즈A 투자 유치금은 총 115억원 규모다. 스톤브릿지벤처스가 리드 투자했고 위벤처스, 산업은행, 미래에셋벤처투자도 공동 투자했다.
데이터라이즈는 온라인 쇼핑몰 성장을 위한 ‘올인원 그로스(growth) 솔루션’을 개발했다. 이커머스 사이트를 정교하게 진단 및 분석해 고객 행동 데이터 기반의 마케팅 자동화를 실현한 솔루션으로, 데이터 수집∙처리∙진단부터 마케팅 액션 및 개선에 이르는 모든 프로세스를 자동화했다.
데이터라이즈는 2020년 솔루션을 선보인 후 1년간 이용자 수를 20배 늘렸고 재구독률은 98%에 달한다.
데이터라이즈는 올해 본격적인 해외 진출에도 나설 계획이다. 북미의 대표적 이커머스 플랫폼 ‘쇼피파이’를 통해 현지 시장을 공략하고 B2B SaaS 구매력이 높은 해외의 다양한 웹빌더 플랫폼 및 독립몰을 위한 서비스를 확장한다는 전략이다.
앞서 네이버 D2SF는 2020년 투자를 진행한 데이터 기술 스타트업 ‘클로아’에 후속 투자했다.
클로아가 이번 시드 라운드에서 유치한 투자금은 총 60억 원 규모로, 위벤처스가 리드 투자했다. 스톤브릿지벤처스, KB인베스트먼트, 메가존, 슈퍼패스트, 티인베스트먼트 등도 공동으로 투자했다.
클로아는 메타데이터 관리부터 데이터 분석∙문서화∙공유까지 데이터 저장∙처리∙분석을 아우르는 올인원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개발 중이다. 데이터 애널리스트∙사이언티스트를 위한 제품으로, 다양한 클라우드에 분산돼 있는 데이터를 간편하게 통합 처리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양상환 네이버 D2SF 리더는 “데이터 웨어하우스, 멀티 클라우드 등의 환경 변화로 데이터 통합 처리 기술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라며 “클로아는 각종 벤치마크에서 기술 경쟁 우위를 입증했고, 잠재적 고객사들로부터 제품 가치를 인정받은 만큼 항후 본격적인 성장을 기대한다”라고 후속 투자 취지를 밝혔다.
한편 지난해의 경우 네이버 D2S는 메타버스, 커머스, 인공지능(AI) 분야 테크 스타트업에 집중 투자했다.
신규·후속 투자를 포함해 이 기술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24%(메타버스), 21%(커머스), 17%(AI)로, 총 약 62%에 달한다.
무엇보다도 3D,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메타버스 플랫폼에 적합한 콘텐츠 기술 스타트업 투자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10월 신규 투자한 오디오테크 스타트업 ‘가우디오랩’은 네이버 동영상 플랫폼과 공동으로 '이머시브 오디오 기술'(온라인에서 생생한 현장감과 몰입감을 느낄 수 있는 오디오 기술) 등을 개발해 서비스로 구현했다.
버추얼플로우와 플라스크는 각각 고품질의 3D 콘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했고, 픽셀리티게임즈는 VR 환경에서 다수의 유저가 실시간으로 인터랙션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했다.
커머스 분야에서는 새로운 온라인 쇼핑 경험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 스타트업 중심으로 투자했다. 6월에 네이버 D2SF가 신규 투자한 ‘리콘랩스'는 스마트폰으로 상품을 촬영하면 자동으로 3D 모델을 생성하는 웹AR 커머스 솔루션을 개발했다. 지이모션은 패션에 특화해 원단 재질, 패턴 변화 등을 실감나게 구현하는 3D 시뮬레이션 엔진으로 D2SF의 투자를 유치했다.
기존 투자팀에 대한 후속 투자도 적극적인 행보를 보였다.
AI 반도체 스타트업 ‘퓨리오사AI’에는 2017년, 2019년에 이어 세 번째 투자를 진행했고, 물류 IT 스타트업 '테크타카' 등에도 후속 투자했다. 이처럼 네이버 D2SF는 기존 투자팀들의 후속 투자에도 적극 참여하며, 체계적으로 성장을 지원하는 한편 네이버와의 장기적인 시너지도 강화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