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셀러레이터들에 대한 '업무수행 점검 기준'이 필요
[더블유스타트업 이태영 기자] 지난 2013년부터 국내 액셀러레이터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목표로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하 NIPA)이 수행하는 사업 K-글로벌액셀러레이터 사업도 제대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NIPA가 홍정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소속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NIPA는 2016년부터 올해까지 총 24곳의 액셀러레이터를 선발해 230개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을 K-글로벌액셀러레이터 사업으로 지원했다.
시작과 성과는 자랑스럽지만 이어진 후속 투자 진행이 아쉽다. 2016년 5000만 원, 2019년 1억 원 2건 이외는 전혀 후속 투자 기록이 없다.
그리고 후속 투자 유치를 위한 ‘데모데이’ 해외개최도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년간 22개 액셀러레이터 중 6업체는 실시조차 하지 않았다.
“액셀러레이터 글로벌 역량 강화라는 목표와 달리 해외성과는 뒷전이고 국내 실적으로 성과를 평가하는 모순이 사업 부진의 원인”이라 홍정민 의원은 언급했다.
글로벌 역량을 높이기 위해 국내보다 해외 진출에 더 여력을 쏟아야 한다는 취지이지만 이 발언은 반만 맞고 반은 틀렸다. 국내 액셀러레이터 투자실적 역시 절반 이상이 ‘0’인 상태기 때문이다.
국회 산업 통산 자원 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성만 의원이 창업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8월 기준 등록된 창업기획자(액셀러레이터)는 총 259곳이다. 이중 투자실적이 ‘0’인 곳이 절반을 넘는 134곳에 달했다.
이는 ▲2017년 등록업체 56곳 중 13곳, ▲2018년 81곳 중 30곳, ▲2019년 80곳 중 53곳에 비해 늘어난 수치다. 특히, 올해 등록된 업체를 제외해도 96곳이 실적이 없다는 것이 더 충격이다.
스타트업에 대한 각종 지원, 높은 관심과는 다르게 현실은 그렇지 않다고 관계자들이 말이 이러한 연유 때문인지 의심이 생길 정도다.
이에 대한 마땅한 해결책이나 구체적 대안도 현재로선 미지수다. 물론, 향후엔 해결에 대한 프로토콜이 차례로 진행될것이라 믿는다.
하지만 지금 당장은 장기간 투자실적이 없는 액셀러레이터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하는 게 먼저다.
‘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에는 투자 의무를 명시하고 있다. 등록 3년이 지난 날까지 투자실적이 없으면 시정명령, 등록취소 등의 행정처분을 받는다.
하지만 액셀러레이터사들은 이러한 활동 보고와 공시의무를 위반한 이유로 행정처분을 시행한 사례는 한 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스타트업에게 자금과 지도가 중요하다. 4차 산업혁명, ICT 기술로 세계를 선도하자는 포스트코로나 산업 선도국의 실현을 위해선 더 많고, 더 다양한 혁신 기술이 탄생하고 이어져야 한다. 이를 위한 액셀러레이터의 투자와 보육공간은 빠질 수 없는 필수요소다.
따라서 액셀러레이터들의 투자실적 촉진과 보육의 업무를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 기준이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