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10곳중 7곳, 해외출장후 2주 자가격리가 가장 큰 애로…완화 필요
[더블유스타트업 김하성 기자] 중소기업 10곳중 7곳은 코로나19 사태이후 해외출장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국내 입국시 2주간 자가격리를 꼽았다.
이에따라 무역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구조 특성을 고려, 기업인 격리 기간을 단축하거나 위험도 낮은 국가 방문 후 입국 시 검사 결과가 음성이면 격리를 면제하는 등 제도 완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달 21∼29일 전국 수출 중소기업 300곳을 대상으로 '출입국 제한에 따른 중소기업 애로 조사'를 한 결과 71%가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국내 입국 시 2주간 자가 격리'를 꼽았다고 6일 밝혔다.
이어 '코로나19 감염 우려에 따른 직원 출장 기피'(37.7%), '정기 운항 항공편 부족'(22.3%), '해외 출입국 규제에 대한 정보 부족'(21.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84.0%는 올해 해외 출장을 가지 못했다고 응답했다.
출장경험이 있는 기업의 출장사유(복수응답)로는 ‘신규바이어발굴을위한마케팅’이 43.8%로 가장 많았고 ‘해외전시참가(29.2%)’, ‘수출제품세부사양협의(12.5%)’, ‘수출제품현장설치및시운전(10.4%)’ 등이 뒤를 이었다.
출입국 제한과 관련해 정부 정책을 활용한 경험이 있는 중소기업은 27.0%로 나타났다.
활용정책으로 ‘비대면온라인마케팅(92.6%)’, ‘기업인패스트트랙(6.2%)’, ‘전세기편성(2.5%)’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해외 출입국 제한과 관련 정부 정책 활용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55.7%가 홍보 부족으로 접근성이 낮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어 ‘복잡한서류절차(19.3%)’, ‘통합된창구부재(6.7%)’, ‘신속하지못한정책집행(6.0%)’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해외 출입국 제한 관련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지원책으로는 56.3%가 ‘출장 후 입국 시 기업인 14일 자가격리면제라고 응답했고 ‘비대면 수출사업 지원(45.0%)’, ‘해외 출입국 제한 관련 실시간정보제공(27.7%)’, ‘자가격리시비용지원(26.7%)’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코로나19로 인한 국내외 출입국 제한애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격리면제 제도도입, 패스트트랙등을 도입하고 있으나 제한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중소기업들은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무역 의존도가 높은 대한민국의 경제구조 특성을 고려하면 기업인 격리 기간을 단축하거나 위험도 낮은 국가 방문 후 입국 시 검사 결과가 음성이면 격리를 면제하는 등 제도 완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