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LEVELUP①] ‘쏘카’ 국내 12번째 유니콘 기업 등극, 국내 유니콘 기업은 어디?

2020-09-24     이태영 기자

[더블유스타트업 이태영 기자]  [스타트업 알기스정]을 통해 기본적인 스타트업 시장의 기본적인 용어와 정보들을 살펴보고 있는 가운데 용어에 부합하는 국내 스타트업 시장 상황은 어떨까? 라는 궁금증이 드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수순일 수도 있다.

스타트업 레벨업에서는 알기스정 시리즈에 보태 스타트업 용어와 매칭 되는 국내 스타트업의 현황이나 상황들을 들여다 보려한다. [편집자 주]

 

세계적으로 유니콘 기업은 숫자를 더해가며 400개 이상으로 파악되고 있다. 유니콘 기업 자체가 비상장 기업들이기 때문에 정확한 파악은 힘들지만, 현재까지 전문조사기관들의 결과 발표에 따라 파악된 숫자만 포함된 것이다.

 

400개의 유니콘 중 중국과 미국의 기업이 70%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최근까지 11개의 기업이 유니콘 기업으로 등록되어 있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서 12번째 유니콘 기업이 등록됐다.

국내 12번째 유니콘 기업이 된 쏘카 (사진=쏘카)

국내 1위 카쉐어링 서비스 업체 쏘카가 그 주인공이다. 모빌리티 업체로는 처음으로 국내 유니콘 기업으로 등극한 쏘카는 타다금지법(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개정안) 국회 통과 여파로 타다 베이직사업을 포기했다.

 

하지만 올해 2월에 이어 7개월 만에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총 투자액 3000억 원을 돌파했고 올해 투자액도 1000억 원을 넘었다. 국내 사모펀드가 참가한 것으로 알려진 이번 투자로 쏘카는 11000억 원대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고 국내 12번째 유니콘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이는 연초 코로나 19사태와 함께 국내 유니콘 기업의 명맥이 끊어졌었는데 타다 사업 포기에도 불구 투자에 성공, 유니콘 기업에 등극한 쏘카로 인해 침체 된 경기에 활력을 더할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향후 쏘카는 가맹택시, 대리운전, 중고차 등 차량 플랫폼을 활용한 사업들에 주력할 계획을 밝혔다.

(사진=중소벤처기업부 블로그)

국내 스타트업에서 유니콘 기업이 된 기업들

국내에 또 하나의 유니콘 기업이 생겼다. 그렇다면 12번째 유니콘 기업이 된 쏘카 이전 국내의 다른 유니콘 기업들은 어디며 유니콘 기업을 눈앞에 둔 예비 유니콘 기업들은 어디일까.

 

국내 유니콘 기업

 

1.쿠팡

201405월 등록. 쇼핑몰과 오픈마켓, 쇼셜커머스 업체로 전자상거래, 통신판매, 광고대행을 하는 업체다. 배송서비스를 외부 배송 업체를 활용하는 다른 국내 온라인 쇼핑몰과는 달리 쿠팡맨이라는 이름으로 직접 채용하는 방식으로 빠르게 사업을 확장하여 국내 소셜 커머스 업계 1위를 달성한 기업이다. 기업가치는 90억 달러에 이른다.(한화 104400억원)

 

2. 옐로모바일

201411월 등록. 포털, 컨텐츠, 커뮤니티 업체로 지주회사 및 경영컨설팅 서비스업을 운영한다. 120여개의 유망 벤처기업이 하나로 뭉친 벤처 연합 형태의 기업으로 굿닥, 피키캐스트, 딩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벤처 연합이다보니 투자의 용이성이 좋아 유니콘 기업이 된 큰 이유로 꼽히고 있다. 기업가치는 등재 당시 40억 달러(46400억원)이다.

 

4 L&P코스메틱

20174월 등록. 생활화학, 화장품 기업으로 화장품 제조 및 유통업 사업을 진행한다. 중국 마스크팩 매출2, 1초에 15개씩 팔리는 마스크팩 메디힐은 단일 품목 누적 판매량 10억장을 돌파했다. 광고 없이 소비자의 입소문으로만 이뤄낸 성과라 더 주목받았다. 178000만 달러(한화 약 2665억원)의 기업가치를 평가받았다.

 

3. 크래프톤

201808월 등록. 유선 온라인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체로 온라인, 모바일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과 공급을 주력으로 하는 사업체다. 온라인 게임 테라배틀그라운드개발 업체다.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끈 배틀그라운드 론칭 이후 주가가 장외시장 3만원에서 40만원으로 급상승했다. 기업가치 평가는 50억 달러(한화 약 58000억원)이다.

 

5 비바리퍼블리카

201812월 등록. 모바일, 핀테크, APP 기업으로 금융 플랫폼 토스가 주요사업이다. ‘토스는 송금의 혁명, 절차가 복잡했던 송금을 연락처만으로 가능하게 만들었다. 수평적 구조가 아닌 정보 공유로 성장하는 회사이며 최근 신한 금융과 함께 제3 인터넷 전문 은행 설립에 도전하고 있다. 22억 달러(한화 약 25500억원)의 기업가치를 평가받았다.

 

6 우아한형제들

201812월 등록. 모바일, APP 기업이며 배달의 민족, 배민 라이더스, 배민키친, 배민상화, 배민 문방구 등의 커머스 사업이 주력이다. 전단지의 온라인화, B급 문화와 컨셉으로 꾸준하게 아이덴티티를 설립했다. 기업가치 26억 달러(한화 약 3185억원)를 인정 받아 등재됐다.

 

7 야놀자

201906월 등록. 포털, 컨텐츠, 커뮤니티 기업이며 020서비스, 숙박 프렌차이즈, 숙박 B2B 서비스를 제공한다. 인재는 야놀자에서 데려간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인재 영입에 힘쓰며 기존 주력 사업이던 숙박을 넘어 이동과 레저까지 포함된 종합 여가 플랫폼으로 발전했다. 기업가치 평가는 10억 달러(11600)이다.

 

8 위메프

20159월 등록. 쇼핑몰과 오픈마켓, 쇼셜커머스 업체로 전자상거래, 통신판매, 광고대행을 하는 업체다. 2015년 유니콘 기업에 등재 시점을 표시하지만, 리스트에 업데이트된 것은 최근이다.(20194) 위메프 투자유치 당시 8000억 원 수준의 가치였으나 거래와 매출이 늘어나며 기업가치가 상승해 쿠팡에 이어 이-커머스 업계에서 2번째로 유니콘 기업에 등재되었다. 기업가치는 265000만 달러(3765억원).

 

9 GP클럽

201810월 등록. 생활 화학, 화장품 기업으로 자사 브랜드인 JM솔루션이 중국에서 꿀광 마스크로 대박이 났다. 1억 장 이상 판매되었으며 매출이 1년 만에 5배 이상 증가한 기업이다. 기업가치는 132000만 달러(한화 약 15300억원)이다.

 

10 무신사

201911월 등록. 쇼핑몰과 오픈마켓, 패션 브랜드업체로 젊은 층이 선호하는 스트리트 브랜드 제품을 소개하고 판매한다. ‘무지하게 신발 사진이 많은 곳이라는 온라인 패션 커뮤니티에서 출발했으며 현재 전체 회원 중 70%10~20대다. 기업가치는 189000만 달러(한화 약 21940).

 

11 에이프로젠

201912월 등록. 이전까지 등록된 국내 유니콘 기업들과 다르게 정보통신기술(ICT)분야를 벗어나 생명공학 분야 기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기업가치 104000만 달러(한화 약 12000억원)의 평가를 받았다.

 

12 쏘카

20209. 카쉐어링 업체로 국내에선 타다서비스 운영으로 유명하다. ‘타다서비스 사업이 여건상 중단되었음에도 수년간 차량 공유, 호출서비스 등 차량관련 IT플랫폼을 운영하며 성장가능성을 인정받아 투자유치에 성공하며 유니콘 기업으로 등재됐다. 기업가치는 103000만 달러(한화 약 11000억원)로 평가된다.

 

사진=중소벤처기업부

국내 예비 유니콘 기업?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 박영선 장관은 최근 브리핑을 통해 2022년까지 유니콘 기업을 20개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동시에 정부는 국내 유니콘 기업의 확대를 위해 예비 유니콘 기업을 선정하고 지원에 나섰다.예비 유니콘 특별보증 시범사업인데 100억 원까지 스케일업 자금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중기부 산하 기술보증기금(기보)은 성장 가능성이 큰 기업들을 선정 후 지원에 나섰다. 현재까지 2차의 지원 리스트가 발표되었으며 총 27곳의 기업들이 지원을 받고 성장 중이다.

선정 기업으로는

1마켓 컬리 리디 메쉬코리아 와디즈 블랭크코퍼레이션 디에스글로벌 마이뮤직테이스트 피피비스튜디오스 하나기술 네오랩컨버전스 달콤소프트 왓챠 힐세리온

 

2차 선정기업에는 레이니스트 뤼이드 마이리얼트립 바로고 스마트스터디스타일쉐어 아젠컴 엔젠바이오 오티디코퍼레이션 원티드랩 웨딩북 이티에스 제이투에이치바이오텍 피엔에이치테크다.

 

과거 유니콘 기업이 늘어나는데 1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하지만 최근 그 시간은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다. 20183개사가 유니콘 기업으로 등록됐고 1년 뒤인 2019년엔 5개사가 신규 등록되는 등 등록 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유니콘 기업의 확대에 대해 우리나라 스타트업 창업자와 벤처 투자자의 땀과 노력으로 벤처 생태계가 성숙해 가는 증거라고 언급했다.

 

​​​​​​​국내에 유니콘 기업이 탄생한다는 것은 경쟁력을 가지고 성과를 내는 국내 기업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2020년에 몇 개의 유니콘 기업이 탄생할지 주목해 봐야 할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