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코로나19는 소비행태를 어떻게 변화시켰을까?
-코로나가 바꾼 소비행태… 유흥비 줄고 배달음식 및 코로나 예방용품 지출 증가 -직장인 10명 중 8명, 코로나로 “계획적으로 소비 습관 바꿀 의향 있어"
[더블유스타트업 김민주 기자] 코로나19 확산이 소비행태의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제공 플랫폼 벼룩시장구인구직이 직장인 2638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에 따른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45%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소비가 줄었다’고 답했다.
여성(42.8%)보다는 남성(49.1%)이 기혼 직장인(44%)보다는 미혼 직장인(46%)이 소비가 줄었다고 응답했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소비가 줄어들었다고 조사됐다. 특히 50대 이상 직장인 49.8%가 소비를 줄였다고 응답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 밖에 ‘코로나19 확산 이후 소비가 늘었다’는 답변은 28.6%, ‘변화가 없다’는 답변은 26.4%였다.
◆ 코로나19 확산 이후 직장인들이 가장 지출을 많이 줄인 항목은 무엇일까?
44.6%가 ‘술값 등 유흥비’를 1위로 뽑았다. 코로나19 사태 후 사회적 거리두기의 방침에따라 퇴근 후 바로 귀가하는 일상 패턴이 소비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뒤이어 ‘취미, 문화생활비(22.7%)’, ‘이/미용, 품의 유지 쇼핑비(11%)’, ‘점심값(7.8%)’, ‘기호식품(담배, 커피 등) 구입비(6.3%)’, ‘교통비(4.4%)’, ‘경조사비(3.3%)’가 차지했다.
한편, 코로나19의 여파로 언텍트 소비문화의 확산에 따라 음식 배달에 지출과 손 소독제 마스크등 코로나19 예방 제품 소비는 증가세를 띄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가장 큰 지출 항목은 ‘배달 음식비(30.6%)’가 차지했고 ‘마스크 및 손 소독제 등 예방 용품(29.6%)’이 2위를 차지해 코로나 예방을 위한 지출은 아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또 ‘부식비(16.4%)’, ‘생필품(9.9%)’, ‘외식비(7.1%)’, ‘의료 및 의약비(3.4%)’, ‘통신비(2.2%)’ 등의 소비가 늘었다는 응답도 있었다.
한편 직장인들에게 코로나19 확산 이후 소비 습관을 바꾸고 싶은 생각이 있는지에 대한 물음에 응답자 80%는 ‘바꿀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코로나19로 소비 습관을 바꿀 의향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 중 39.7%는 ‘소비를 하더라도 계획적으로 할 것이다’고 답했으며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릴 것이다(32.4%)’, ‘꼭 필요한 소비 외에는 하지 않을 것이다(20.9%)’가 뒤를 이어 코로나19의 빠른 확산으로 불안과 공포에 위축된 소비심리를 반영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나에 대한 투자는 아끼지 않을 것이다(6.2%)’, ‘쓰고 싶은 대로 쓸 것이다(0.9%)’의 기타 의견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