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추경 통한 중기부의 중소, 벤처를 위한 지원 계획은?
[더블유스타트업 현가흔 기자]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가 3차 추경안을 1차 추경보다 6천 억원 증가한 3조 7천억 원을 편성,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라 밝혔다. 이번 추경안엔 창업, 벤처기업 육성과 소상공인, 중소기업의 내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사업과 더불어 급속도로 변해가는 4차산업혁명과 맞물린 디지털화 작업을 위한 사업 등이 포함된다.
중기부는 이번 추경안에서 가장 대표적인 방안으로 ▲비대면 분야 창업, 벤처기업을 지원하는 정책과 ▲화상회의 인프라 구축을 손꼽았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급부상 중인 비대면 분야의 사업들을 진행하는 창업,벤처기업의 안정적인 투자환경의 확보와 인프라 구축, 확대를 위해 3천 114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포스트 코로나의 유망 산업으로 떠오르는 비대면 사업 분야의 중소, 벤처들은 벌써 향후 기술 개발과 판로 개척이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라는 기대를 드러내고 있다. 거기에 중소, 벤처기업의 밀집 거점 1천 562곳에 공동화상회의 인프라 구축을 진행하고 나아가 외국까지 연결 가능한 화상 상담장 구축을 통해 중소, 벤처기의 수출과 기술 교류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또한, 올 연말까지 비대면 업무 도입이 가능하도록 ▲8만 개 중소, 벤처기업이 재택근무, 화상회의 실현을 지원할 바우처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추경안에는 비대면, 온라인, 인공지능, 빅데이터, 바이오 중심의 신산업에 집중하여 투자될 ▲민관 합동 공동펀드인 ’스마트 대한민국 펀드’ 조성을 위한 예산도 2천억 원 추가 편성되었다.
소상공인 자영업자를 위한 지원 방안도 함께 포함되어 있다. 온라인 판로 지원 플랫폼 ‘가치삽시다’에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을 신설하고 ▲이들의 디지털화를 위한 예산도 각각 95억 원과 505억 원이 반영되었다.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전통상인들을 위한 사업도 빠지지 않았다. 전통시장을 위해 ▲온누리상품권 추가 발행과 폐업 위기 소상공인의 재기를 위해 ▲점포 철거비, 창업 교육 등을 추가로 지원하는 방안도 이번 추경안에 반영되었다.
또한, 이번 추경 반영으로 수출에 필요한 정부 지원을 선택해 활용할 수 있는 ▲ ‘수출바우처 프로그램’ 대상 중소기업도 기존 2천여 곳에서 3천8백여 곳으로 확대하며 ▲자금 확보가 문제인 기업들에 대한 특례보증을 위해 신용보증기금과 기업보증기금을 통해 2조 6천 억 원이 출연될 계획이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구조의 비대면화, 디지털화가 가속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선제적이고 종합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하반기 중에 비대면 벤처·스타트업 활성화 대책, AI 기반의 제조혁신 고도화 추진전략을 관계부처와 협업해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