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소비↑에 공유주방 창업도↑, 새 먹거리 자리매김
[더블유스타트업 한동현 기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비대면 소비가 새로운 사업 키워드로 자리잡는 가운데 외식업 창업을 위해 공유주방을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소비 심리 위축과 회복기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자본을 들여 창업할 수 있는 공유주방은 낮은 사업유지비와 정부정책 지원 등을 업고 성장 중이다.
공유주방 브랜드 먼슬리키친은 스파크플러스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국내 최초'인빌딩(in-building) 공유주방 서비스' 런칭을 준비 중이다.
해당 제휴를 통해 먼슬리키친은 스파크플러스 강남3호점 내 웰니스(Wellness) 복합 라운지에 공유주방과 푸드코트형 홀을 함께 운영한다.
입주 멤버 1,500명의 대상으로 외식서비스가 제공되며 배달 매출외 홀 매출도 발생하는만큼 공유주방 창업자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도 배달수요 증가에 발 맞춰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지원 중이다.
지난해 6월 정부는 공유주방을 규제샌드박스로 지정해 한시적으로 규제를 완화, 먼슬리키친과 위쿡등의 공유주방업체와 고속도로 휴게소 15곳의 운영을 지원한 바 있다.
사업환경 변화와 정부지원에 힘입어 나홀로창업 추세가 통계적으로도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5월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138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20만명 감소한 반면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421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11만8000명 증가했다.
적은 운영인력으로도 배달과 홀 운영 모두 가능한 공유주방 창업은 통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먼슬리키친 측은 “공유주방 외식창업은 적은 초기비용으로 주방과 기본시설을 임대 계약해 쉽고 빠르게 외식업을 시작할 수 있다. 운영에 필요한 직원 고용 없이 1~2인 운영이 가능하다”며 “코로나19로 온라인 배달 중심으로 외식업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유주방으로 시작하는 외식창업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고 밝혔다.
업계 측은 “향후 공유주방간 경쟁이 치열해지며 자사만의 독창적인 공유주방 모델을 도입하여 전략 경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